본문 바로가기
가는게 즐거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역사관 이야기 실감나는 근현대사 교과서

by 지파동파 2025. 2. 7.
반응형

대한민국 역사 박물관 2편입니다. 

 

1편 안중근 특별전시, 말랑말랑 현대사 놀이터, 나의 보물 우리의 현대사 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https://jidong-papa.tistory.com/167

 

 

 

 

 

5층은 마지막 전시관, 역사관 입니다. 

 

역사관

 


전시 구성
역사관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1894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를 다룹니다. 근대국가 수립 노력, 일제 강점기 저항, 새로운 문화와 교육 경험 등을 보여줍니다.
2부: 1945년 광복부터 1987년까지를 다룹니다. 정부수립 과정, 6·25전쟁, 경제발전과 민주화 운동 등을 포함합니다.
3부: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다룹니다. 민주화, 세계화, 남북관계 변화, 네트워크 사회 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대한민국 역사 박물관이라는 이름에 맞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건국되기 까지의 노력과

건국이후에 발전과정을 다루고 있었습니다. 

 

사진은 많이 못찍었지만

글을 하나하나 읽다보면.. 국사샘의 지겨운 수업보다 훨씬더 유익하고 재미있었습니다. 

살아있는 근현대사 교과서 같았어요.

 

 

근현대사의 대한제국은 바람앞의 등불이었습니다. 

위 그림은 그런 당시 한국의 모습을 풍자한 그림입니다. 

러시아 중국 일본 그외의 나라들 까지도 중심잡기도 어려운 공위에 올라가 서 있는 한국을

그마저도 중심도 못잡게 잡아 당기고 있습니다. 

 

 

이완용이 나라를 팔아먹었다는, 대표적인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될수있게한 한일병합조약문도 있습니다. 

 

 

위안부 할머님들의 그림이 인생이 깊었는지 사진을 찍었네요.

제목이 "끌려감" "끌려가는 조선처녀" 입니다.

 

영상으로 남기진 못했지만

6.25 전쟁당시 

남,북한군의 먹고 먹히는 영토전쟁도 

한번에 알수 있도록 제작해놨습니다. 

 

6.25 전쟁전에 이미 소련과 미국에 의해서 

둘로 갈라져있었다고 설명해주니

딸아이가 많이 놀라더라구요.

 

아마 성인중에도 모르는분들 많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반응형

 

사실인지 알수는 없으나..

 

1987년 6월에 일어난 국민평화 대행진, 6월 항쟁당시 

국민 참여도를 그린 그림입니다. 

 

광주와 전북은 전국에서도 압도적으로 많은 인원이 참가한걸로 나오네요.

당시 민심이 어땠는지 확실히 보여주는 그림이었습니다. 

 

이렇게 수치화 해서 보니.. 충격적이더라구요.

 

 

 

마지막으로 옛날 핸드폰이라며 아들에게 보여주고,

저게 무슨 핸드폰이냐며, 무전기라고 놀림을 당하고는 

전시관을 나왔습니다. 

 

 

사진이 많아서 2편으로 나눠서 작성했는데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근현대사 교과서를 실물로 옮겨놓은듯 

정말 알찬 전시를 하고 있었습니다. 

 

안중근 특별전시부터 

역사관 상설전시까지 

 

놓칠틈이 하나도 없는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이었습니다. 

 

방학기간에 아이들과 함께 꼭 방문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